1. sudo apt-get install net-tools

 

2. ifconfig 로 이더넷명, 주소 확인 (eno 몇번인지)

 

3. ip route 로 default via 뒤에 붙어 있는 게이트웨이 주소 확인

 

3. 변경할 IP , 게이트웨이 세팅 

    sudo vi /etc/netplan 으로 다음 양식으로 수정 (아래 주소 참고)

    addresses 부분에 원하는 IP(PING 테스트 필요), gateway4 에 게이트웨이 주소 넣기

4. 서버에 적용

    sudo netplan apply 

 

출처:

https://coco-log.tistory.com/100

 

Ubuntu 20.04 IP고정

IP가 자꾸 바뀌는 바람에 EC2서버에 접속도 안 되고 AWS보안 설정도 다시 일일이 바꿔야 했다. IP고정하는 게 귀찮아서 한 번은 그렇게 했는데 또 같은 일이 발생했다. 귀찮다고 미뤘다가 더 귀찮은

coco-log.tistory.com

 

윈도우엔 mobaxterm ,

맥에선 iterm2 를 주로 사용한다.

 

iterm2에서 ssh 자동로그인을 위해

sshpass 를 설치한 후 profile를 세팅해주면 된다.

 

 

출처:

https://m.blog.naver.com/freepsw/220817960506

 

[Mac] terminal 세션관리 & 자동로그인

mac에서 putty-cm처럼 사용할 터미널(여러개의 접속 세션을 저장하고, 자동로그인)을 찾다보니 생각보다 별...

blog.naver.com

 

'OS > MA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MAC] mysqld 자동실행 해제하기  (0) 2022.07.07
맥북 아파치 세팅  (0) 2022.04.04

출처:

https://m.blog.naver.com/toruin84/220708498704

 

윈도우10에서 IP주소 확인, 변경, 수정하는 방법

IP는 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사용자의 인터넷 및 네트워킹 활동에 쓰이는 쉽게 비교하면 내가 사...

blog.naver.com

 

'OS > WINDO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윈도우] 쉘스크립트 실행방법  (0) 2022.07.07
[윈도우] 바탕화면에서 BIOS 진입 방법  (0) 2022.04.26

출처:

https://joonyon.tistory.com/184

 

[Linux] 부팅시 스크립트 자동 실행시키기(rc.local)

리눅스를 사용하다 보면 서버가 켜질 때, 즉 부팅이 될 때 자동으로 실행시켜야할 명령어나 스크립트가 생기기 마련입니다. 저의 경우에는 /var/run 경로에 서비스가 이용하는 디렉터리를 만들어

joonyon.tistory.com

 

다중명령어 참고

출처:

https://brownbears.tistory.com/205

 

[Linux] 다중명령어(세미콜론, 파이프, &&, ||) 차이점

세미콜론(;) 하나의 명령어 라인에서 여러 개의 명령을 실행(하나의 명령어 다음에 추가) 첫 번째 명령이 실패하여도 두 번째 명령은 반드시 실행이 됨. $ printf "first command\n"; printf "second command\n" f

brownbears.tistory.com

 

# 보낼 때

 

1. 단일 파일을 원격지로 보낼 때.

 

구문 : # scp [옵션] [파일명] [원격지_id]@[원격지_ip]:[받는 위치]

 

           scp testfile2 root@192.168.159.129:/tmp/testclient  

 

2. 여러 파일을 포함하고 있는 디렉터리를 원격지로 보낼 때. ( -r 옵션을 사용합니다 )

구문 : # scp [옵션] [디렉터리 이름] [원격지_id]@[원격지_ip]:[보낼 경로]

 

           scp -r testgogo root@192.168.159.129:/tmp/testclient

 

# 받을 때

 

1. 단일 파일을 원격지에서 로컬로 가져올 때

 

구문 : # scp [옵션] [원격지_id]@[원격지_ip]:[원본 위치] [받는 위치]

 

           scp root@192.168.159.129:/tmp/testclient/testfile2 /tmp

 

2. 여러 개의 파일을 포함하는 디렉터리 원격지에서 로컬로 가져올 때

 

구문 : # scp [옵션] [원격지_id]@[원격지_ip]:[디렉터리 위치] [받을 경로]

 

           scp -r root@192.168.159.129:/tmp/testclient/testgogo /tmp

 

출처 :

https://wlsvud84.tistory.com/11

 

리눅스 scp 명령어 사용법 ( 파일 전송 프로토콜 / 파일 보내기 /파일 받기 )

안녕하세요 롯사입니다. 이번 시간 포스팅은 리눅스 기반 운영체제에서 사용하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 scp에 대해서 포스팅해보겠습니다. 리눅스 기반 시스템 기반을 운영하고 계신 현업 종사자

wlsvud84.tistory.com

 

# 에러나면 ssh 초기화

ssh-keygen -R [아이피]

https://moonpmj.tistory.com/71

 

MAC 에서 아파치 웹 서버 구동하기 - 다시 정리

아파치 웹 서버 구동하기 아파치를 구동하려면 먼저 아파치를 설치해야 하지만, 맥에는 이미 기본적으로 아파치 와 php가 설치되어 있습니다. 따라서 따로 설치 과정은 필요없으며, 사용하려면

moonpmj.tistory.com

 

'OS > MA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MAC] mysqld 자동실행 해제하기  (0) 2022.07.07
[MAC] iterm2 ssh 자동로그인 세팅  (0) 2022.04.12

1. MariaDB .tar.gz 파일 다운로드 사이트 (버전 별로 다운로드 가능)

https://mariadb.org/download/?t=mariadb&o=true&p=mariadb&r=10.1.48&os=Linux&cpu=x86_64&pkg=tar_gz&i=systemd

 

Download MariaDB Server - MariaDB.org

REST API Release Schedule Reporting Bugs … Continue reading "Download MariaDB Server"

mariadb.org

2. .tar.gz 설치 방법

https://lahuman.github.io/mariadb_install_with_tar.gz/

 

MariaDB를 binary tar.gz 파일로 설치 하자

설치는 별거 없다.

lahuman.github.io

 

3. .tar..gz로 설치한 MariaDB 실행, 접속 방법

MariaDB를 설치한 폴더(필자는 /usr/bin/mysql)로 들어가 다음을 실행한다.

 

# 실행

./bin/mysqld_safe --datadir='./data' &

 

# 접속

 ./bin/mysql -uroot -p

1. apt-get 을 이용하거나 yum 을 이용해서 curlftp를 다운로드 하면 된다.

 

# apt-get 이용

sudo apt-get install curlftpfs

 

# yum 이용

sudo yum install -y epel-release
sudo yum install -y curlftpfs

 

2. curlftp를 이용해 마운트

# [SERVER]에 FTP 서버 입력 ,

# [PATH]에 마운트할 폴더경로 입력 

# SERVER 와 PATH 사이 공백

sudo curlftpfs -o user=ID:PW -o codepage=cp949 -o allow_other ftp://[SERVER] [PATH]

 

3. 마운트 해제

fusermount -u [PATH]

1. 설치 및 서버 세팅

출처 : https://bangu4.tistory.com/128

 

[Server] Centos7 - MariaDB 10.4.17 설치 (yum 사용)

DB설치전에 검토사항들이 많이있다. 어떤 버전으로 설치할것인지 내가 사용하는 리눅스 버전에 맞게, 설치하려는 버전에 맞게 Repo를 설정하고 설치해야한다. 필자의 서버는 Centos 7.8이며, MariaDB v

bangu4.tistory.com


2. 외부접속 허용

출처 :
https://yjh5369.tistory.com/entry/CentOS-7-MariaDBmysql-%EC%99%B8%EB%B6%80-%EC%A0%91%EC%86%8D-%EA%B0%80%EB%8A%A5%ED%95%98%EA%B2%8C-%ED%95%98%EB%8A%94-%EB%B0%A9%EB%B2%95

 

CentOS 7] MariaDB(mysql) 외부 접속 가능하게 하는 방법

mysql과 mariadb는 기본 명령어가 같기 때문에 같은 명령어로 외부 접속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. // mariadb 접속 # mysql -u root -p // database를 mysql로 변경 $ use mysql; $ select host, user from u..

yjh5369.tistory.com

 

.tar.gz 파일로 MariaDB를 세팅한 경우 아래 명령어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.

 

시작
systemctl start mariadb

종료
Systemctl stop mariadb

재시작
systemctl restart mariadb

자동 재시작
systemctl enable mariadb

db 서버 세팅
/etc/my.cnf

파이썬에서 세팅
connection.execute('set max_allowed_packet=67108864')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