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sh-keygen -R [접속아이피]

'OS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리눅스] crontab 자동부팅설정  (0) 2022.07.30
[리눅스] CPU 확인  (0) 2022.07.08
[리눅스] 렘 용량 확인  (0) 2022.07.08
[리눅스] 서버 전체 용량 확인  (0) 2022.07.08
[리눅스] 폴더 권한 설정  (0) 2022.07.01
[리눅스] ll 명령어 안될 때  (0) 2022.07.01
[리눅스] 우분투 FTP 서버 세팅  (0) 2022.06.23
[리눅스] 우분투 웹서버 세팅  (0) 2022.06.23

https://botbinoo.tistory.com/100

 

[Linux] crontab 을 이용한 자동 재부팅, 배치 작업 등록하기

이번 의뢰에서 리눅스의 자동 재부팅을 요청받았다. 리눅스에서 배치 작업을 등록하는 방법은 무엇일까?  - 리눅스에서 자동적으로 쉘 스크립트나 프로그램 명령을 등록하는데 가장 자주 사용

botbinoo.tistory.com

 

'OS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리눅스] ssh 인증키 초기화  (0) 2022.08.10
[리눅스] CPU 확인  (0) 2022.07.08
[리눅스] 렘 용량 확인  (0) 2022.07.08
[리눅스] 서버 전체 용량 확인  (0) 2022.07.08
[리눅스] 폴더 권한 설정  (0) 2022.07.01
[리눅스] ll 명령어 안될 때  (0) 2022.07.01
[리눅스] 우분투 FTP 서버 세팅  (0) 2022.06.23
[리눅스] 우분투 웹서버 세팅  (0) 2022.06.23
cat /proc/cpuinfo

 

free -h
df -P | grep -v ^Filesystem | awk '{sum += $2} END { print sum/1024/1024 " GB" }'

'OS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리눅스] ssh 인증키 초기화  (0) 2022.08.10
[리눅스] crontab 자동부팅설정  (0) 2022.07.30
[리눅스] CPU 확인  (0) 2022.07.08
[리눅스] 렘 용량 확인  (0) 2022.07.08
[리눅스] 폴더 권한 설정  (0) 2022.07.01
[리눅스] ll 명령어 안될 때  (0) 2022.07.01
[리눅스] 우분투 FTP 서버 세팅  (0) 2022.06.23
[리눅스] 우분투 웹서버 세팅  (0) 2022.06.23
 sudo chown [소유자] [폴더경로]

 sudo chmod -R 777 [폴더경로]

 

'OS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리눅스] crontab 자동부팅설정  (0) 2022.07.30
[리눅스] CPU 확인  (0) 2022.07.08
[리눅스] 렘 용량 확인  (0) 2022.07.08
[리눅스] 서버 전체 용량 확인  (0) 2022.07.08
[리눅스] ll 명령어 안될 때  (0) 2022.07.01
[리눅스] 우분투 FTP 서버 세팅  (0) 2022.06.23
[리눅스] 우분투 웹서버 세팅  (0) 2022.06.23
[리눅스] 서버 이름 변경  (0) 2022.06.20
echo "alias ll='ls --color=auto -alF'" >> ~/.bashrc
source ~/.bashrc

ssh를 새로 접속할 경우 안될때, root로 접속후 다음 스크립트를 실행한다.

echo "alias ll='ls -ahl'" > /etc/profile.d/ll.sh

 

1. 설치

$ sudo apt-get install vsftpd

2. conf 파일 세팅

$ vi /etc/vsftpd.conf

참고.

유저 파일 생성시 권한 수정.

#local_umask=022

해당 부분 주석 해제.

 

3. 서비스 시작

$ service vsftpd restart

4. 홈 디렉토리 변경

vi /etc/passwd


test 계정에 해당하는 라인으로 이동

/home/test 부분을 원하는 경로로 변경
test:x:1111:1111::/home/test:/bin/bash

5. 폴더 권한도 수정해야함

 

6. 참고

1. 아파치 설치

$ sudo apt-get update
$ sudo apt-get install apache2

2. 아파치 서버 시작 or 재시작

$ sudo service apache2 start
$ sudo service apache2 restart

3. 서비스 상태 확인

$ systemctl status apache2
hostnamectl set-hostname [서버이름]

+ Recent posts